#1 리눅스의 역사
리눅스를 살펴 보기 전 유닉스의 역사들을 알아보았고, 왜 공식문서가 중요한지 왜 표준화가 중요한지 알게 되었다. 업계표준화와 공식문서(가이드라인)을 통해 하드웨어적, 소프트웨어적으로 다른 기업들의 서비스를 자사 프로그램, 기기에 적용할 때 호환성여부를 따짐으로써 고객에게 상품을 제공하기 전 버그를 줄이고 효용성을 제공하는 핵심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. 또한 표준화는 업데이트가 즉각 됨으로써 인터넷에 떠도는 구 정보들 보다 강력한 정확성을 갖고 있다.
필자는 프로그래밍 문법을 참고할 때 표준문서보다는 블로그를 통해 정보를 얻는 스타일이고 사실 한글이 많이 편하지만, 서서히 표준문서를 가까이 둬야겠다고 생각했다.
여기서 얻어간 명언이 있는데, 토르발즈의 말이 내 가슴에 비수가 날아와 꽂혔다.
Talk is cheap. Show me the code.
해당 내용은 프로그래머스 리눅스 강의 김선영 선생님의 강의를 들으며 기록했습니다.
'프로그래머스 > 리눅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1일차 man , locale, LANG 에 대해 (0) | 2022.11.02 |
---|---|
1일차- User, Account 명령어에 대해(리눅스) (0) | 2022.11.02 |
유저,그룹생성 유저에 그룹 추가. (unix account 강의) (0) | 2022.11.02 |
유저 삭제가 안될 때 (0) | 2022.11.01 |
vmware, ubuntu 설치과정 중 이슈들 (0) | 2022.11.0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