학습했던 명령어

UNIX Account

#1 login방식 , su [-] [ID]

1) substitue user

2) ID 생략 시 root 유저 의미

3) 지정 시 lgin shell로 작동(환경설정이 변경됨) , su만 입력시 non login shell 작동

**[]는 선택 입력사항, <>와 무괄호; 필수 입력사항

 

#2 logout방식 , exit || ctrl+d

 

#3 user, group 관리 명령어

#3-1 user

1) user: useradd, deluser, usermod, userdel, userpasswd

- useradd m ID (유저 추가 시 m과 함께 쓰이면 그 유저의 홈디렉터리 생성시켜줌)

- deluser ID 유저삭제

- passwd ID (유저 생성 시 유저의 초기 패스워드 생성해야함)

**root user의 패스워드 명령어 : sudo passwd

2) id, whoami (이를 통해 자신의 정보 파악가능)

 

#3-2 group

1)group: groupadd, delgroup, newgrp, gpasswd

-groupadd GroupName :그룹 추가

-delgroup: 그룹삭제

-newgrp 새로운 그룹으로 변경(그룹 로그인 시 활용)

-gpasswd 그룹 패스워드(쓰일 일이 많지는 않지만, 유저를 그룹화할 때 사용)

 

#4. 유저에 그룹을 추가 및 삭제하는 방식

1) 추가 : usermod aG 그룹명 유저명  (aG : append Group)

2) 삭제 : usermod G “ 유저명 : 유저에 추가했던 그룹들 모두 제거함.

 

-미션-

유저 및 그룹 생성해서 유저에 그룹을 소속시켜주자.

그리고 유저와 그룹을 삭제해보자.

작업 후 id를 통해 확인해보자

 

 

유저 id를 삭제하려 할때 해당이슈에 따라 삭제 되지 않았다. 하기 링크 사이트에 알려준, 강제삭제를 하니 삭제가 됐다. 강제삭제에 대해선 다소 위험한(?)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글을 봤는데 ,알아봐야겠다.

https://junworld.tistory.com/1024 

 

 

 

해당 내용은  프로그래머스 리눅스 강의 김선영 선생님의 강의를 들으며 기록했습니다.

+ Recent posts